최신글

more

[스파르타 문서 읽기] 10. act API

https://react.dev/reference/react/act act – ReactThe library for web and native user interfacesreact.dev최근 테스트 코드 짜면서 많이 썼는데 뭔지 잘 몰라서 찾아봄 - API 중 유일하게 한글 번역이 안되어 있다!act는 테스트를 돕는 비동기 함수다. assertion 전에 대기중인 리액트 업데이트를 적용한다.예를 들어, 컴포넌트를 렌더링하고 업데이트를 하는 코드를 act로 감싸면 리액트가 브라우저에서 동작하는 것과 비슷하게 테스트할 수 있다.- 렌더링, 유저이벤트, 데이터 페칭과 관련된 모든 리액트 업데이트가 DOM에 적용되게 한다.React Testing Library 등에서 사용할 수 있는 함수들을 쓰면 act를 직접..

react.dev-reference 2025.03.13 0

[스파르타 문서 읽기] 9. useInsertionEffect

https://react.dev/reference/react/useInsertionEffect useInsertionEffect – ReactThe library for web and native user interfacesreact.devCSS-in-JS 라이브러리 개발자들을 위한 훅 - 아니면 그냥 useEffect나 useLayoutEffect 써라아무 layout 이펙트가 있기 전에 DOM에 요소를 삽입할 수 있게 한다.기본적인 동작은 useEffect 등과 비슷한데 실행 시점만 다른것 같다.useInsertionEffect 내부에서 상태 업데이트를 할 수 없다.useInsertionEffect가 실행될 때 ref는 아직 요소에 안 붙은 상태(null일 것임)DOM 업데이트되는 특정 시점에 의존해..

react.dev-reference 2025.03.10 0

[스파르타 문서 읽기] 8. Server Functions, 'use server'

휴가 끝!리택트 19 버전의 서버 함수는 마이너 버전에는 변경이 없지만 서버 컴포넌트랑 같이 쓰려면 버전을 고정하는게 낫다라고 한다.서버 함수를 사용하면 클라 컴포넌트에서 서버에서 실행되는 비동기 함수를 호출할 수 있다. 호출하면 리액트가 서버에 함수를 실행하라는 요청을 보내고 결과를 반환한다.서버 상태를 업데이트하고 싶을 때(mutation)를 위해 설계되었고, 데이터 가져오기에는 권장하지 않는다.'use server'- 함수 각각에 표기할 수도 있고, 파일 최상단에 추가해서 모든 exports 요소들을 서버 함수로 표기할 수도 있다.- 서버 파일에서만 사용 가능하다. 결과물로 생성된 서버 함수의 참조값은 클라이언트에 전달할 수 있다(props로)- 비동기 함수에서만 사용가능- serializable한..

react.dev-reference 2025.03.07 0

CS

more

[전공 시리즈] 4. 라우팅 프로토콜(Routing Protocol)

[전공 시리즈] 3. IP(Internet Protocol) [전공 시리즈] 3(1). IP 주소 체계 [전공 시리즈] 2. 데이터 링크 계층과 인터페이스, ARP(Address Resolution Protocol) [전공 시리즈] 1. 인터넷과 프로토콜, 계층화 원칙 [전공 시리즈] 0. 소개 🔰작성 동기 nan-noo.tistory.com 🔰서론 좋은 경로를 찾자! 라우팅 프로토콜은 좋은 경로를 찾는 프로토콜이다. 여기서 좋은 경로란, 빠르고 덜 혼잡한 최소 비용이 드는 경로를 말한다. 비용(cost)에는 두 가지 종류가 있다. 먼저 고정된 요소엔 link length, hop count, speed, BW(band width), propagation delay 등이 있다. 변할 수 있는 요소는 av..

Network 2023.04.17 0

[전공 시리즈] 3. IP(Internet Protocol)

[전공 시리즈] 3(1). IP 주소 체계 [전공 시리즈] 2. 데이터 링크 계층과 인터페이스, ARP(Address Resolution Protocol) [전공 시리즈] 1. 인터넷과 프로토콜, 계층화 원칙 [전공 시리즈] 0. 소개 🔰작성 동기 예전에 정말 열심히 공부했었지 nan-noo.tistory.com 🔰서론 이번 챕터는 프로토콜의 특징과 패킷 헤더, IP 포워딩(forwarding)을 다룰 것이다. 다행히 이전 챕터에 비해 양이 적다 :D 🔰IP 특징 connectionless, best-effort, datagram IP는 connectionless, best-effort 프로토콜이며 IP의 패킷은 datagram이라 부른다. connectionless는 관리하지 않는다는 뜻이다. 이와 반..

Network 2022.12.23 0

[전공 시리즈] 3.1. IP 주소 체계

[전공 시리즈] 2. 데이터 링크 계층과 인터페이스, ARP(Address Resolution Protocol) [전공 시리즈] 1. 인터넷과 프로토콜, 계층화 원칙 [전공 시리즈] 0. 소개 🔰작성 동기 예전에 정말 열심히 공부했었지만.. 시간이 지날수록 까먹어서 복습을 위해 시리즈를 계획했다. 전공 공부 nan-noo.tistory.com 🔰서론 네트워크 계층을 배우기 전에, IP 주소에 관해 먼저 공부해보자 :D 이번 챕터에서는 IPv4 주소(IP 주소), IPv6 주소를 정리할 것이다. 내용이 좀 많다! 이 포스팅에서 IP 주소는 IPv4 주소를 의미한다. 🔰IP 주소 인터페이스 식별자 IP 주소는 32bit로 구성되어 있다. IP 주소는 호스트와 라우터의 인터페이스를 구분하기 위한 identif..

Network 2022.12.12 0

[전공 시리즈] 2. 데이터 링크 계층과 인터페이스, ARP(Address Resolution Protocol)

[전공 시리즈] 1. 인터넷과 프로토콜, 계층화 원칙 [전공 시리즈] 0. 소개 🔰작성 동기 예전에 정말 열심히 공부했었지만.. 시간이 지날수록 까먹어서 복습을 위해 시리즈를 계획했다. 전공 공부를 하면서 필기한 내용을 바탕으로 이야기하듯 풀 nan-noo.tistory.com 🔰서론 챕터 1에서 네트워크의 전반적인 내용을 훑어보았고, 이번 챕터부터 네트워크의 각 부분을 자세히 들여다 볼 것이다. 그래도 어려운 내용은 없다! 아마도 이번 챕터에선 2계층인 링크 계층과 네트워크에서 인터페이스(interface), ARP라는 2계층 프로토콜에 관해 알아보자. 🔰데이터 링크 계층이 해야 할 일 IP 입장에서 생각해보자. 3계층 프로토콜인 IP(Internet Protocol) 입장에서 생각해보자. IP가 데이..

Network 2022.12.06 0

[전공 시리즈] 1. 인터넷과 프로토콜, 계층화 원칙

[전공 시리즈] 0. 소개 🔰작성 동기 예전에 정말 열심히 공부했었지만.. 시간이 지날수록 까먹어서 복습을 위해 시리즈를 계획했다. 전공 공부를 하면서 필기한 내용을 바탕으로 이야기하듯 풀어나갈 예정이다. 주로 nan-noo.tistory.com 🔰서론 브라우저에 URL을 입력했을 때.. "브라우저에 URL을 입력했을 때 어떤 일이 일어날까요?"라는 유명한(?) 면접 질문이 있다. 그래도 네트워크 공부를 해 봤다면 DNS를 통해 IP 주소를 알아내고, IP 주소를 통해 HTTP, TCP, IP 등등의 프로토콜을 거쳐서 서버와 통신하고.. 어쩌구저쩌구.. 이런 것이 떠오를 것이다. 앞에서 말한 것 말고도 많은 개념을 알아야 이 질문에 대해 어느 정도 답할 수 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인터넷이 무엇인지, 프..

Network 2022.12.01 0

코딩 테스트

more
728x90